테니스 경기룰, 알면 경기를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테니스 경기 규칙과 스코어 계산법 총정리

테니스는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꽤 복잡한 규칙이 있죠. 하지만 이 규칙들만 제대로 이해하면 어떤 테니스 경기에서도 문제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테니스 경기의 기본 구성

테니스 경기는 크게 포인트, 게임, 세트, 매치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포인트는 경기의 가장 작은 단위로, 한 번의 랠리로 이뤄집니다. 그리고 4포인트를 따내면 1게임을 얻게 되죠.
6게임을 먼저 따내면 1세트를 이기게 되고, 보통 프로 대회에서는 3세트 또는 5세트를 치러 최종 승자를 가립니다.
이렇게 완벽한 승리를 위해 하는 일련의 시합을 매치라고 합니다.
테니스 스코어 세는 방법

테니스 경기의 가장 큰 특징은 아마도 점수 세는 방식일 것 같네요.
다른 스포츠와 달리 1, 2, 3 이런 식으로 점수를 세지 않고, 15, 30, 40이라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하죠.
이는 중세 시대부터 내려온 전통적인 방식인데요, 시계의 문자판을 연상시키는 이 점수 체계는 테니스만의 고유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점수를 세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버의 점수를 먼저 말하고, 그 다음에 리시버의 점수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서버가 15점, 리시버가 0점이라면 "15-love"라고 합니다.
30-30일 경우에는 "thirty-all"이라고 부르죠.
그리고 40-40이 되면 "deuce"라고 하는데, 이때는 두 점을 연속으로 따내야 게임을 이길 수 있습니다.
서브와 코트 체인지

테니스 경기는 서브로 시작됩니다.
서브를 넣을 때는 오른쪽 서비스 박스에서 시작해 상대편 코트 대각선으로 넣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다음 서브는 왼쪽 서비스 박스에서 넣죠.
이렇게 서브 순서가 바뀌면서 경기가 진행됩니다. 또한 게임 스코어가 홀수일 때마다 선수들은 코트를 바꿉니다.
이를 "엔드 체인지"라고 부르는데, 이렇게 하면 선수들이 균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타이브레이크와 매치 승부
마지막으로 게임 스코어가 6-6으로 타이가 되면 타이브레이크 룰이 적용됩니다.
이때는 12포인트 내에서 7포인트를 먼저 따낸 선수가 세트를 가져가게 되죠. 그리고 프로 대회의 경우, 단식 경기에서는 5세트 중 3세트를, 복식 경기에서는 3세트 중 2세트를 이겨야 최종 승자가 됩니다.
이렇게 완벽한 승리를 위해 치르는 일련의 경기를 매치라고 부릅니다. 여러분, 이렇게 테니스 경기의 기본 규칙과 스코어 계산법을 정리해봤습니다.
처음에는 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 경기를 보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그리고 이제 테니스 경기를 보면서 규칙을 이해하고 즐기실 수 있으시죠?
재미있게 즐기시길 바랍니다!
댓글